수면과 건강
수면은 뇌신경과 근육수면은 뇌기능과 자율신경을 통한 심혈관계, 내분비기등 신체장기와 온몸의 근육을 조절하여 잠에서 깨어났을 때 이전 처럼 다시 활동 할 수 있는 힘을 복원시켜 줍니다. 불면증으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신체 에너지의 재충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낮시간의 활동력이 떨어지고 집중력의 장애, 기억력 저하, 두통, 어지럼증, 식욕저하, 자율신경실조증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수면은 뇌신경에 의해서 조절되기 때문에 여러종류의 뇌질환에서 수면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수면이 신체장기의 기능회복을 위해 필수적인 만큼 수면의 장애는 여러 신체장기의 질병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파킨슨씨병이나 알츠하이머병등의 신경질환들은 여러종류의 수면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노령층에서는 뇌의 노화로 인하여 뇌신경 기능의 약화되고 수면이 얕고 짧어지게 되어 충분한 휴식이 되지 못하기 쉽고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신경질환에 의하여 수면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불면증의 정의와 원인 우리주위에서 흔히 접하는 스트레스는 신체의 과도한 각성 상태를 유발시켜 수면에 들기 어렵게 하지만 수면무호흡증, 신경질환, 심폐질환, 역류성 식도염..전립선, 방광염등 배뇨 장애, 갑상선, 당뇨병 내분비 질환,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 및 그외의 유수한 질병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불면증이 오래 지속된다면 그 원인에 대해 전문의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은 흔히 코를 심하게 고는 환자들에게서 발견되는데 수면시 기도가 좁아지면서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을 때 구개를 지나가는 기류가 부딪혀서 소음을 낼 뿐만 아니라 산소의 흡입에도 지장을 주어 뇌의 기능과 심폐등 전신 장기에 심각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간과하여서는 안되는 중요한 질환입니다.
다음의 경우는 건강한 수면과 원인 질환의 진단을 위해 전문의에게 진찰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불면증외에도 만성 피로, 낮시간의 과다 졸림증, 우울증, 집중력 장애, 두통, 어지럼증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반신마비등 신경학적 이상을 보이는 경우 다음은 건강한 수면 습관 - 다음은 불면증을 치료하는 기본 수칙입니다.
1. 규칙적인 생활하기 - 일정한 시간에 일찍 자고 일어날 것 ( 일과를 마친 후에 잠을 자는 것 보다는 충분히 자고 일찍 일어나서 일을 하시는 것이 올바른 수면 관리법입니다. )
- 불교미술이야기 - |
'마음의 양식 > 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어포 고추장 볶음 (0) | 2013.11.29 |
---|---|
조선왕조의 가계도 (0) | 2013.10.24 |
염증이 안 생기게 하여 암을 예방한다 (0) | 2013.03.17 |
핸드폰 분실 때 대처요령 (0) | 2012.12.12 |
생활의 지혜( 보관 활용하세요) (0) | 2012.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