妙行無住分 第 四
제4분 아름다운 행은 안주하지 않는다
모든 살아있는 사람들은 몸이든 마음이든 어떠한 행위를 하기 마련입니다. 행위란 사람들이
하루하루 살아가는 삶 그 자체입니다.
우리들이 매일 엮어가는 행위가 추하지 않고 아름다우려면 어떠해야 합니까.
『금강경』은 이렇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네가 한 행위에 안주(安住)하지 말라. 머물고 집착
하지 말라.미련과 아쉬움을 보이면서 끈적끈적 늘어 붙지 말라. 하찮은 일로 생색을 내면서 추
잡을 떨지 말라. 어떠한 일에도 정체되지 말고 더욱 앞으로 나아가라.
復次須菩提야 菩薩이 於法에 應無所住하야 行於布施니
부차수보리 보살 어법 응무소주 행어보시
“또 설명하겠다. 수보리야,보살은 모든법에 안주하지 말고 보시를 행하라.”
수보리가 제2분에서 “깨어있는 삶을 살고저 하는 사람들, 즉 보리심을 낸 사람들은 어떻게 머
물고 어떻게 항복받습니까”하고 법을 청하였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제 3분에서 '마음을 항복받는 법'을 말씀하시고, 여기서는 머무는 법, 안주하는
법을 말씀하십니다.
‘법(法)에 안주하지 말라’에서 법은 단순히 어떠한 가르침만을 말하는것이 아니고, 모든 존재
(存在)와 그 존재의 법칙인 일체법(一切法)을 말합니다. 우리들의 안(眼)이(耳)비(鼻)설(舌)
신(身)의(意)를 통해 인식되어지는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 모두인 것입니다.
무를 ‘있다’는것이란 이것들 외에 사실 아무 것도 없습니다. 바로 우리들의 인식 대상이고,
인식한계인 것이며 우리들의 생활 터전입니다.
그러니 무주(無住)의 삶, 즉 반야의 빛이 넘치는 힘있는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보시(布施-dana)'란, ’베푼다‘라는 뜻으로, 부단히 자기 향상을 도모하고 한편으로는 힘이
미치는 데까지 다른 사람들을 위하여 힘을 기울이며 살아가는 모든 보살들이 수행하는 여섯
가지의 실천 덕목(德目) 중의 첫째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베푸는 일을 굳이 덕목이라고 할 것까지 없이 우리 불자들의 일상적인 생활 전부를
보시라 하겠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단호하게 말씀하십니다.“어떠한 일을 하더라도 그 어디에도 안주하거나
집착하지 말라. 그 일이 베푸는 일일 때에는 더더욱 집착해서는 안된다.”
所謂不住色布施며 不住聲香味觸法布施니라 須菩提야 菩薩 이應如是布施하야 不住於相이니
소위부주색보시 부주성향미촉법보시 수보리 보살 응여시보시 부주어상
"이른바 물질에 안주하지 말고 보시를 하라.소리와 양기와 맛과 감촉과 일체 작용에도 안주
하지 말고 보시를 하라.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이아 같이 보시하여상에 안주하지 말지니라."
앞에서 한거번에 했던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이라고 낱낱이 분석하여 일러 주십니다.
우리들은 그동안 살아온 경험과 익혀온 지식(知識)에 의해서 눈으로 보는 것, 귀로 듣는 것,
코로 향기를 맡는 것, 혀로 맛보는 것 등등 육진 경계에 머물러 판단을 하고견해를 가집니다.
집착이 있고 고집이 있습니다. 그래가지고는 그 집착의 울타리 속에서 안주하게 됩니다.
안주하고는 떠날 줄을 모릅니다.자신의 좁은 소견에서 떠나면 자신의 삶이 무너지는 줄로
압니다.
부처님께서도 말씀하십니다. "크고도 힘찬 삶은, 아름답고도 빛나는 삶은, 기쁘고도 행복한
삶은 모든 '있음'에 집착하거나 머무르지 않는 데에 있다.
어디에도 머물지 말고 살아라. 머무르되 머무는 바 없이 머무르라.그것이 상(相)에 머물지 않
는 보시니라.그런 삶이야말로 금강석처럼 빛나는 반야의 삶이니라."
何以故오 若菩薩이 不住相布施하면 其福德을 不可思量이니라
하이고 약보살 부주상보시 기복덕 불가사량
"왜냐하면, 만약 보살이 상에 안주하지 않고 보시를 하면 그 복덕을 가히 생각하여 헤아릴 수
없느니라."
불교의 가르침은 왜소하거나 찌들린 삶에서 크고 활짝 열린 삶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제한과 한계 속에 갇힌 삶엣 벗어나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무한히 확대된 삶을 지향하고
있습니다.속박과 부자유한 삶에서 해탈(解脫)의 참된 자유를삶의 이상(理想)으로 가르치고
있습니다.
먹구름에 가려서 침울하고 어두운 존재가 아니라 언제나 맑게 빛나는 공명(光明) 그 자체로
서의 존재입니다. 불성 인간(佛性 人間)이기 때문입니다. 불성 인간에 대한 학신은 자질구
레한 소견과 집착에안주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무한한 자유와 행복을 누리며 살도곡 되어 있습니다.
자유와 행복을 사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는 보람인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무엇으로도 비유할 수 없는 큰 복덕입니다.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東方虛空을 可思量不아 佛也니이다
수보리 어의운하 동방허공 가사량부 불야
世尊하 須菩提야 南西北方四維上下虛空을 可思量不아 佛也니이다
세존 수보리 남서북방사유상하허공 가사량부 불야
世尊하 須菩提야 菩薩의 無住相布施히난 福德도 亦復如是하야 不可思量이니라
세존 수보리 보살 무주상보시 복덕 역부여시 불가사량
"수보리야, 너의 생각에 어떠하냐? 동쪽에 있는 허공을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겠느냐?"
"헤아릴 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수보리야, 남쪽과 서쪽과 북쪽과 서북 서남 동북 동남의
네 간방과 위와 아래에 있는 허공을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는냐?"
"헤아릴 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수보리야, 보살이 상에 안주하지 않고 보시하는 복덕도
또한 이와 같아서 가히 생각하여 헤아릴 수 없는니라."
이 세상에서 가장 크고 넓은 것이 허공입니다. 여기에서는 단순하게 허공이라 하지 않고 동쪽
부터 하나씩 짚어가시면서 시방(十方)의 허공을 다 열거합니다.
부처님께서는 집착하지 않고 안주하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복덕(福德)이 그토록 크다는
것을 절실하게 깨닫게 하려는 것입니다.
여기서 복덕은 다른 것이 아닙니다. 바로 행복(幸福)입니다.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닙니다.
시원하게 마음이 열려 무엇에든지 적극적으로 살면 바로 거기서 행복이 시방의 허공만큼이나
보장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모든 사람과 사물에 대해 새로운 안목이 열려 신선한 아이디어가 본성자리에서
끊임없이 흘러나와 매일매일 우리들의 생활은 활기차고 보람이 있을 것입니다.
그야 말로 색(色)·향(香)·미(味)·촉(觸)·법(法) 그어디에도 매이지 않고 한정짓지 않는 툭 트인
부처님 살림 살이 같은 광대무변(廣大 無邊)의 삶을 살게 되는 무량 복덕을 얻게 될 것입니다.
須菩提야 菩薩은 但應如所敎住니라
수보리 보살 단응여소교주
"수보리야, 보살은 다만 이렇게 가르쳐 준 대로 안주할지니라."
『금강경』은 상이 없는 것으로로써 으뜸으로 삼고 주함이 없는 것으로써 근본으로 합니다.
안주하되 안주함이 없음이요, 또 안주함이 없이 안주함입니다.
보시하되 보시함이 없음이요, 또 보시함이 없이 보시합니다. 행위를 하되 행위함이 없음이요,
또 행위함이 없이 행위함입니다.
아무리 남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많이 하여 ㅆ다 하더라도 스스로 그것을 나태내려 하거나
거기에 끈적끈적 달라붙어 있으면 그만 그것이 추해 보이기 시작하여 나중에는 역겨워지기
까지 합니다.
그래서 복덕을 짓기보다는 있는 복덕도 잃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