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 13.이는 고(苦)의 멸(滅)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고의 멸진(滅盡)의 성제이다.
이 갈애를 남김 없이 멸하고 버리고 벗어나서, 더 이상 집착함이 없기에
이르는 일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고의 멸진에 이르는 길의 성제이다. 성스러운 팔지(八
支)의 길이니, 정견, 정사,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정념, 정정이그것
이다."
([相應部經典] 56:11 如來所說. 漢譯同本, [雜阿含經] 15:17 轉法輪)
상응부경전 여래소세 한역동본 잡아함경 전법륜
이것이 사제 후반의 두 가지 성제에 대한 설법이다. 이제 전반의 두 명제
와 후반의 두 명제를 따로 나눈 것은 붓다가 그렇게 구분하여 설했다는 것
이 아니라, 그 구조로 볼 때 일단 그런 분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앞에
든 '연기의 공식'을 여기에 적용시켜 본다면 "이것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있다." 또는 "이것이 생김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생긴다."는 공식의
전반 부분이 쓰이고 있는 것은 사제 전반의 두 명제이다. 그리고 "이것이
없음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없다." 또는 "이것이 멸함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멸한다."는 후반의 공식이 응용 된 것은 이 후반 부분인 멸, 도의 두 명제
라고 할 수 있다. 또는 그 전반은 고의 발생에 관한 이론적인 부분,그 후
반은 고의 멸진에 대한 실천적인 부분이라고도 나눌 수 있겠다.
어쨌든 "이는 고이다."라고 인식하고, 그렇게 만드는 조건을 갈애라고 단
정한 이상 그렇다면 어떻게 하여야 되느냐는 것이 문제가 된다.
그래서 '연기의 공식'의 후반 부분이 응용되어 "무엇을 멸함으로 말미암아
고를 멸할 수 있는가?" 라고 추궁하게 되는 것이다. 그것에 대한 대답이
"이 갈애를 남김 없이 멸하여 더 이상 집착함이 없기에 이르는 일" 이라고
되어 있는 것이다. 갈애 때문에 생긴 괴로움이니까 이것을 제거하면 된다
는 이론이다.
그것은 참으로 간단 명료한 답변이다. 너무 간단 명료하여 도리어 싱겁다
고 할는지도 모르겠다. 왜냐 하면 인생의 괴로운 양상이란 천차만별하고
다기 다양한 것이기에, 도저히 이처럼 간단하게 처리될 수는 없다고도 생
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다기 다양한 것을 쾌도로 난마를 베듯
풀어 버리는 것이 지혜라고 말하지 않으면 안되겠다.
붓다의 정각을 말하면서 뉴턴이 만유 인력을 깨닫던 순간 을 보기로 든 바
있거니와, 그 후 뉴턴에 의해 정리된 인력의 법칙은 간명했을지 는 몰라도
저 밤하늘에서 반짝이는 어떤 별 하나도 망라하지 못함이 없었던 것이니,
그것이 과학자의 지혜임에 틀림없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붓다에 의해 정비 된 사제의 명제 또한 간단 명료하면
서도 무릇 인생의 모든 양상에 적응해서 어느 하나라도 새어 나가는 것이
없는 것이다. 다만 인생은 자연과 다르기에 그 법칙에 따라 실천하느냐 안
하느냐는 우리 인간에게 맡겨져 있다. 여기에서 실천의 문제가 중대한 의의
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넷째 명제는 "이것이 고의 멸진에 이르는 길의 성제이다." 라고 되어있다.
원어에 가깝게 옮긴다면 "이것이 고의 멸(滅)에 따르는 길의 성제이다."
라고 해야 할 것이다. 한역에서 흔히 "순고멸도성제(順苦滅道聖諦)"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고의 멸 (제 3 성제)에 따르는 실천이라는 뜻이다.
붓다가 그 실천 항목으로 열거한 '성스러운 팔지의 길'은 다음과 같은 여
덟 개의 정도(正道)로 이루어져 있다.정견(正見),정사(正思),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이 그것
들이다. 제 4 성제는 다만 이런 항목들을 열거했을 뿐이지만, 그것들을 설
명하기 위하여 네 묶음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1) 정견 --------------- 바르게 보는 것
2) 정사, 정어, 정업 --- 바른 행위
3) 정명 --------------- 바른 생활
4) 정정진, 정념, 정정 - 바른 수행
이런 분류 방식은 붓다의 말씀에 근거한 것도 아니며, 후세의 불교인들에
의해 시도된 바도 아니나, 우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렇게 나누고 볼 때,
붓다가 지시한 실천이라는 것이 어떤 성질의 것이었는지 잘 나타나는 것
같다. 이것들 중에서 가장 기초적인 것은 제 1 항목의 정견(正見)을 과거
의 불교인들도 이것을 팔정도의 '기체(基體)'라고 불러 이것이 근본이 되
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견'이란 관찰하고 선택한다는 뜻을 지닌 불
교 용어로서 결국 인간의 오성(悟性)의 작용이라고 하겠으나, 그것이 실천
을 재촉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이런 뜻에서 정견은 다른 일곱 가지 정도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이것으
로부터 바른 행위가 흘러나오고, 바른 생활 태도가 선택되며, 바른 수행이
선택되는 까닭이다.
이런 여덟 가지 실천이 모두'정(正)' 이라는 형용사로 불리는 사실이다.
'정'이란 무엇일까? "바르다"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조건을 구비하는
것이 "바르다"고 불리는가 하고 따지면, 정연한 이론으로 대답하기가 그리
쉽지 않을 것이다. 알기는 알고 있으나 말하려 드니 말이 잘 안 나온다거
나, 답변을 회피해야 될까? 그러나 이 말은 불교에서 매우 중대한 뜻으로
쓰이고 있는 것이므로 어물어물 넘길 수는 없는 문제이다.
그리고 이 말에 대해서도 불교 쪽에서는 정연한 대답을 준비해 놓고 있는
것이다. '정'의 첫째 조건은 "망령됨을 떠나는 일"이라고 되어 있다.
망령됨 (妄)이란 명석하지 않고 여실(如實)하지 않음을 이름이다.
이것을'견(見)'에서 말한다면 허망한 관찰, 허망한 분별이 '망견(妄見)'
이다. 또는 '어(語)'에 관련시켜 말한다면 진실에 어긋나고 명확하지 않은
발언이 '망어(妄語)'가 된다. 어떻게 해서 그런 망령됨이 생겨나는가?
앞에서도 인용했거니와 붓다는 이것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유를 들어 말씀
한 적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