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 11. 연기(緣起)
이것 있음에 말미암아(緣) 저것이 있고, 이것 생김에 저것 생긴다.
이것 없음에 저것이 없고, 이것 멸함에 말미암아 저것이 멸한다.
([相應部經典] 12:21:19)
상응부경전
이제까지 10장에 걸쳐 붓다라고 불리는 사람을 여러 측면에서 관찰하고,
또 사상의 성격에 대해서도 몇 개의 특징을 든 바 있거니와, 한 마디로
말하여 붓다는 여느 종교가의 유형과는 다른 인물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어찌 보면 종교가라는 개념보다는 오히려 사상가 또는 철학자의 범주에
속했던 것으로 여겨지기까지 한다.
그 인품을 말한대 도 그렇지만 사상은 더욱 그렇다고 할 수밖에 없다.
그것은 하늘로부터 받은 계시 따위와는 전혀 달라서 정연한 체계로 이루어
져 있다. 그러기에 그 가르침을 파고들면 들수록 우리는 그것이 지혜의
가르침인 점에 깊은 인상을 받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 사상 체계의 뼈대를 이루는 것이 이른바 '연기의 원리'이다. 그것은 이
미 말했듯이 보리수 밑에서의 정각의 내용일시 분명하다. 정각이니 깨달음
이니 하는 것은 바로 이 연기의 원리를 파악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리고 그 후의 모든 사상적 전개는 최초의 설법의 내용이 된 '사제'의 가
르침을 비롯해서 모두 이 원리로부터 나오지 않은 것이 없을 터이다.
따라서 붓다의 사상을 파악하면, 먼저 이 연기 사상을 명확히 이해할 것이
요청되기 마련이다. 이것이 붓다의 사상을 파고드는 정공법인 것이다.
그러나 이 원리를 파악하기란 그리 수월치가 않다. 붓다가 이 법을 설할것
인가 어쩔 것인가 하고 주저했던 이유도 바로 이 점에 있었던 것이다.
[상응부 경전] 6:1 '권청'은 그것에 대해 이런 말을 기록해 놓고 있다.
"내가 체득한 이 법은 심히 깊고, 보기 어렵고, 깨닫기 어렵다. 적연 미
묘하여 사람들의 생각을 초월하며, 심원하여 오직 지혜로운 이만 이해할
수 있다.그런데 세상 사람들은 욕망을 즐기고, 욕망에 빠지고, 욕망을 좋
아하고 있다. 이런 사람들은 연기 즉 모든 존재는 원인이 있음으로 말미
암아 생겼다는 이치를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것을 잘 살펴보건대 연기설을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로 두 가지 점이 지
적되고 있다.
그 첫째 이유는 심히 깊다든지, 적연 미묘하다든지, 또는 오직 지혜로운
이만이 능히 알 수 있다든지 한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그 둘째 이유는 세
상 사람들은 욕망을 즐기고 욕망에 빠지고 욕망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되
어 있다. 이제 이 두 가지 이유를 검토할 때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
게 된다.
첫째 이유로 말한'사상이 심히 깊다'함은 어떤 사실을 가리키 는 것일까?
후대의 불교 문헌에서도 우리는 흔히'심심(深甚)'이니 '미묘'니 '난견(難
見)'이니 하는 어휘에 부닥치게 되거니와, 불교 사상이 미묘해서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은 어떤 뜻에서 하는 말일까? 현대인들도 불교를 이해하려 들
다가 그것이 너무 난해함을 탓하는 수가 많다.
그리고 난해한 이유는 대개 엄청난 술어 때문이라고 하는 소리를 듣는다.
그러나 정각 직후의 붓다 에게는 아직 한 개의 술어도 없었을 것임에 틀림
없다.
지금 우리가 문제삼고 있는 '연기'라는 술어마저도 틀림없이 후일에 성립
되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가 난해하다고 한 것은 결국 그것
이 추상적인 원리였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연기의 원리는 아주 추상적 원리인 까닭에 도저히 여느 사람들의 이해
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것이겠다. "적연 미요"하다든지 "사람들의 생각을
초월한 것"이라든지, 또는 "지혜로운 사람만이 능히 알 수 있다."든지 한
것은 이런 사실을 가리키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이유로서는 세상 사람들의 생활 태도가 지적되어 있다. 사람이란 흔
히 그 도리가 진리임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자기 비위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같은 경의 다른 대목에
서 "이는 세상의 조류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붓다가 말씀한 것도 이런 사
실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뒤에서 밝혀지겠지만 이 연기의 원리가
요구하는 실천이란 욕심을 떠나는 문제, 즉 고의 멸진을 실행하는 일이 아
닐 수 없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이 욕망에 빠져 있을 때에는 아무리 연기의 도리를 설
해 보았자 도저히 그들에 의해 받아들여 질 가능성은 없다고 하여야 될 것
이다. 이리하여 "나는 오직 기진 맥진할 따름이리라."는 이유가 붓다로 하
여금 설법을 주저케 만들었던 것이다.
이 점에서는 현대에 사는 우리라 해서 조금도 고대인 보다 나아진 것은 없
을 터이다. 욕망을 즐기고, 욕망에 빠지고, 욕망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다.
실천 없는 불교란 존재할 수 없는 까닭이다.
그 첫째 이유, 즉 심심 미묘하기 때문이라는 것은 추상적인 사고에 익숙해
진 우리에게는 이미 해당되지 않는다고 보아도 된다.
문제는 오히려 둘째 이유에 있다. 그것을 받아들이느냐 하는 점이다.
이해의 문제가 아니라 의지의 문제이다. 도리는 잘 알겠으나 자신은 그것
에 의해 살아갈 뜻이 없다고 한다면, 결국 불교와는 인연이 끊어지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우선 그것을 어떻게 이해하여야 할 것인가? 그것
은 마치 뉴턴 이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유 인력의 법칙을 깨달은
그 순간 같은 것이어서, 그때의 내적 체험의 경위는 아마 본인으로서도 밝
힐 수가 없었으리라 믿어진다. 따라서 경전에도 그 순간의 내적 체험을 이
야기한 붓다의 말씀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
우리는 오직 그런 체험에 입각하여 정리해 놓은 사상 체계를 통해서 어느
정도 그것을 짐작하는 수밖에 도리가 없는 것이겠다.
그런 뜻에서 우선 이'연기의 공식'을 취택한 것이고 이것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이것 있음에 말미암아 저것이 있고,
이것 생김에 말미암아 저것이 생긴다." 는 부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