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 10. 내재하는 방해물
"대덕이시여, 흔히들 '악마, 악마'합니다만, 악마란 무엇입니까?"
"라다여, 만약 色이 있다면 그것이 악마요 방해물이요 교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라다여, 색을 악마라 관(觀 ; 깊이 있게 보는것.)하고, 방해물이
라 관하고, 교란하는 것이라 관하고, 병이라 관하고, 가시라 관하고,고통
이라고 관하라. 그렇게 관하는 것이 바른 관찰이니라.
라다여, 만약 수(受)가 있다면 그것이 악마요, 방해자요,교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라다여, 수를 악마라 관하고, 방해자라 관하고, 교란하는 것이라
관하고, 병이라 관하고, 가시라 관하고, 고통이라 관하라. 그렇게 관하는
것이 바른 관찰이니라."
([相應部經典]23:1 魔. 漢譯同本, [雜阿含經] 6:10 魔)
상응부경전 한역동본 잡아함경
전장(前章)에서도 비슷한 무답 형식의 일절을 인용했다.
우파바나라는 제자가 '현생적인 법'에 대해 물었고, 붓다는 여러 보기를
들어가며 친절하게 설명해 주었다. 여기서도 라다(羅陀)라는 제자가 비슷
한 형식의 질문을 제기했던 것이다.
이 제자는 매우 솔직한 젊은이였던 것 같아서, 어떤 기본적인 뻔한 사실에
대해서도 자기가 납득할 수 없는 경우는 부끄러움도 모르고 어김없이 물은
듯 보인다. 이를테면 흔히들 '無常, 무상' 하지만 무상이란 대체 무엇이냐
고 묻기도 했다. 또 흔히 '고(苦)'를 말하지만 고란 무엇이냐 라든지, '무
아, 무아'라고 하는 그 無我는 대체 무엇이냐고 묻는 식이었다.
그런 문답이 상응부 경전속에서는 한 곳에 모아져 '라다 상응(相應)'이라
는 일련의 경군(經群)을 이루고 있거니와, 그것은 우리에게 더 없이 소중
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솔직한 젊은이는 무릇 불교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샅샅이 묻고 있을
뿐 아니라, 붓다는 붓다대로 매우 명쾌한 답변을 하고 있으므로, 오늘 우
리가 붓다는 대체 어떤 뜻으로 무상이니, 苦니, 무아니 하는 말을 썼는가
를 알아보려고 할 때, 이 '라다 상응'의 여러 경이야말로 가장 명쾌한 대
답을 제공해 주는 까닭이다.
그런데 앞에 인용한 부분은 그런 라다와 붓다의 문답 가운데 하나이다.
여기서 라다가 물은 것은 악마란 대체 무엇이냐는 문제이다. 그런 질문 자
체가 이미 악마를 객체적인 존재로 보고 있지 않다는 뜻이 될지도 모르겠
으나, 아니나 다를까 붓다는 이른바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
(識)의 작용이야말로 악마의 정체라고 대답하고 있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붓다는 인간을 관찰하고 인간을 논할 때면, 먼
저 인간을 다섯 부분으로 분석하였다.
오온(五蘊)이라고 하는 것이 그것이다.
오온은 매우 어려운 말이거니와 결국은 다섯 부분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그 다섯 부분이 바로 앞에 열거한 색, 수, 상, 행, 식이다.
이제 그 다섯 부분에 대해서 대강 설명을 한다면 색이라는 것은 인간의
육체,즉 물리적인 요소를 가리키고, 수 이하의 네 가지는 그 정신적인
요소를 가리킨다.
즉 수는 감각이요, 상은 표상(表象)이요, 행은 의지요, 식은 판단 이성의
작용이다.
결국 붓다는 이 다섯 개의 개념이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정체를 나타내는
것이라 보고, 이제 라다의 질문에 대답하면서 악마란 그런 요소들이 작용
해서 생기는 내재적인 방해물이요, 내재적인 교란자요, 내재적인 불안이요,
내재적인 가시라고 말한 것이다.
이런 이야기를 장황하게 늘어놓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없지 않다.
많은 고대 문헌에 자주 악마가 나오지만, 그런 경우 대개 악마를 비인간적
인 존재로서 묘사하고 있는 것 같다. 불교 문헌에서 조차 후대의것은 역시
그런 태도를 취하였다. 그러나 붓다와 그 제자들에게는 악마란 필경 단순
한 비유에 불과하였다. 결국 악마라는 낡은 개념을 빌려 인간 의 내적 방
해물이나 불안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마땅히 주의해 두어야 할
일로 생각된다.
또 다른 보기를 들어 보자면 [상응부경전] 22:63 '취(取)'라는 제목
의 경에 다음과 같은 말이 나와 있다.
"색(色)에 집착할 때는 악마에게 붙잡힌다. 집착하지 않는다면 악마로부터
풀려난다." 여기서도 또한 수, 상, 행, 식 넷에 대해서 같은 표현을 하고
있거니와, 그 말투로 보아 인간 밖에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악마가 아니라,
인간 안에 도사리고 있는 나쁜 생각을 가리킨다는 것은 명백하다고 할 수
있다.
보리수 밑에서 명상하고 있던 붓다 에게 갑자기 악마가 속삭이는 소리가
들려 왔다.
불사, 안온(安穩)에 이르는 길을 네가 진정 깨달았다면
그 길을 너 홀로 감이 좋도다. 어이 남에게까지 설하려는가.
그것은 틀림없이 정각 직후, 붓다가 설법 여부를 문제삼고 있던 때의 일이
었을 것이다. 이런 부정적 일면을 문학적으로 나타낸 것이 이 악마 이야기
인 것이며, 그런 주저를 극복하고 마침내 설법을 결심하게 된 과정을 묘사
한 것은 앞에 든 '범천 권청'의 이야기인 것이 다. 즉 붓다의 심리적인 움
직임이 두 측면에서 묘사됨으로써 하나는 악마 이야기가 되고,하나는 범천
이야기가 되고 있으니, 그것들은 매우 흥미 있는 고대 문학의 표현 형식이
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