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어사를 찾아서 만어사를 찾아서 신기한 돌들이 많다는 만어사(萬魚寺)를 처음 찾은것은 96년 6월이였는데, 물금으로해서 삼랑진을 가는 산길은 부산 근교에는 보기 드문 꼬불꼬불한 산길을 급이 굽이돌아 길게 이어지는데 왼쪽으로 내려다 보이는 낙동강은 장관을 이루고있다. 천태산을 지나 삼랑진에 .. 靑波 作品/寺刹.관광.맛집 2002.07.18
지리산 삼사순례(칠불사.천은사.실상사) 지리산 삼사순례(七佛寺.泉隱寺.實相寺) 二九 蓮華會가 처음으로 주최한 사찰 순례는 2002년 6월 28일 교육대학 앞에서 모여서 대형 버스를 빌려 지리산 방면으로 출발했다. 당시 경전 반에서'六曹壇經'工夫를 하고 있던 때인데도 예상 밖으로 회원 들이 많이 참석하지를 않았다. 지리산 초.. 靑波 作品/寺刹.관광.맛집 2002.06.28
불교상식과 예절 예절 불교예법을 바르게 익힘으로써 우리 모두 참된 불자로서 어긋남이 없는 몸 가짐과 마음을 갖추어야 하겠다. 사원은 마음의 번뇌를 정화하고 지혜를 닦는 수행장이다. 신성한 성전이며 기도하고 참회하는 신앙의 귀의처이기도 하다. 올바른 예절은 우리들 마음과 몸가짐을 경건하게 하여야 한다...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2.05.15
사찰순례(김제금산사.고창선운사.부안내소사) 김제 부안 사찰순례(金山.禪雲.來蘇寺) 2002년4월7일 새벽6시 장전동 지하철 역사 앞에는 범어사 불교대학 총동 문회에서 연례행사로 사찰순례를 가기위해 관광버스 14대가 줄지어 서있 었다. 각 기수별로 차량을 정해 탑승을 하는데 빈자리가 없을 정도로 600명이 넘 는 사람들을 태우고 가는데 고속도.. 靑波 作品/寺刹.관광.맛집 2002.04.07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이야기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이야기♧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대세지보살은 억겁 전생에 조리와 속리라는 이름을 가진 형제로 태어났다. 일찍이 어머니를 여의고 표독한 서모 밑에서 온갖 학대를 받다가 아버지가 멀리 타국으로 돈벌러 떠나자 일곱살 짜리 형 '조리'와 다섯살 짜리 동생 '속리'는 ..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2.03.18
중국의 선종2 .(동산.남북 선) 三組 僧璨(승찬) 僧璨은 思空山에 은거하여 坐禪에만 專念할 뿐, 글도 쓰지 않고 佛法 도 설하지 않았다. 다만 道信이라는 수행자만이 승찬선사 에게 師事하기 12년 만에, 한 그릇의 물을 다른 그릇으로 옮겨 붓듯이 한 燈의 불을 다른 燈으로 옮겨 붙이듯이 法을 남김없이 傳해 받..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2.02.25
중국의 선종1. (달마와 혜가) 初祖 菩提達摩(보리달마) 보리달마는 南印度 향상국 (香象國) 셋 째 왕자이며, 본명은 菩提多羅 (보리다라)이다. 어릴 적부터 매우 총명하여, 당시 中印度 고승 반야다라 (般若多羅)가 이 곳에서 전도하고 있었는데, 국왕이 궁중으로 모시어 大 乘說法을 들었으며, 국보로 전해오는..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2.02.24
연꽃과 불교 연꽃과 불교 연꽃을 불교의 꽃이라고 하는 데는 대체로 세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연꽃은 진흙 속에서 피어나는 꽃이기 때문입니다. 진흙이 깊으면 깊을수록 더욱 함박스런 꽃을 피우는 연꽃은 처염상정 이라 해서 더러운 곳에서 피어나지만,그 더러움에 물들지 아니하고 항..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2.02.23
불교 기본교리 요점 정리 佛敎 基本敎理, 要點 整理 初轉法輪(초전법륜) 최초의 가르침 붓다(부처님) 得道.석가 (고오타마 싯다르타)는 보리수 아래에서 새벽에 샛별이 반짝이는 것을 보면서 일순간에 緣起(연기)'존재의 실상'을 깨닫음 후 녹야원에 돌아와 전에 같이 隨行(수행)했든 다섯 비구들에게 설법한 내용..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2.02.22
불교 기본교리 정리 2 불교 기본교리 정리 2 5. 근본 교설 (1) 3과설(科說) 현상계의 일체 만유를 법 하나의 항목으로 편입하여 설명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릅니다. 그래서 만유를 구성하는 요소를 종류별로 모아서 5온(蘊), 12처(處), 18계(界)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을 3과설이라 합니다. 1) 5온 온(蘊)이란 쌓여져 모인 것, 화합하..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1.11.03
불교 기본교리 정리 1 불교 기본교리 정리 1 1. 불교의 의의 불교(佛敎)란 부처님의 가르침을 뜻하며, 동시에 부처가 되는 길을 제시한 가르침을 말합니다. 부처라는 말은 산스크리트 어인 '붓다'(Buddha)를 따서 만들었으며, 깨달은 사람을 뜻합니다. 깨달음이란 단순한 개념이나 관념이 아니며, 부처님이 체험을 통하여 증득..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1.11.02
中國 佛敎史 中國 佛敎史 불교의 中國 傳來說은 여러 가지 가있으나, 이존 구수경설 (伊存 口授 經說)에는 천축(天竺)가운데 임야국(臨兒國 Lumbini) 이 있었는데, 슛도 다나 王의 아들 부도(浮屠) 가 있었다. 1. 전한(前漢) 애제(哀帝) 元年 (B.C 2)에 景蘆(경로)라 는 使臣이 大月 之國의王使인 이존..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1.11.01
경주 답사 2.(중생사.황룡사지.사면석불) 경주 답사(중생사.황룡사지.사면석불) 중생사(衆生寺)는 679년 창건한 신라 고찰로 기도 영험을 얻은 사람이 헤 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는 전설과는 달리 아직도 寺勢가 약한지 1940년에 지었다는 작고 허름한 법당 과 두 채의 건물 마당에 자갈이 깔려있는 초 라한 모습을 하고 있다. 신라 .. 靑波 作品/寺刹.관광.맛집 2001.10.03
경주 남산답사(삼릉.불곡.탑골.사천왕사지) 경주 남산답사(삼릉.불곡.탑골.사천왕사지) 경주 남산 삼릉(三稜) 계곡 기슭을 오를 때는 10월 2일 인데도 새벽공기 가몹시 차가워 옷깃을 세우며 300여 미터 가파른 산길을 올라 맨 먼저 보 게 되는 목 없는 석불좌상 앞에서 불교미술 담당이신 崔春郁(최춘욱)교수 님의 설명을 들으며, 생.. 靑波 作品/寺刹.관광.맛집 2001.10.02
사찰순례 (영주 부석사.안동봉정사.제비원) 성지순례 (浮石.鳳停.燕尾寺) 추석을 열흘정도 앞둔 9월21일 부석사 들어가는 길에는 벌써 누렇게 익은 은행들이 수없이 떨어져 있었다. 이곳 주민들이 떨어진 은행을 줍고 있었 는데 주워보니 지독한 냄새가 났다. 부석사는 범어사보다 2년 앞선 문무왕 16년(서기676년) 2월 의상스님이 창 .. 靑波 作品/寺刹.관광.맛집 2001.09.21
불교 미술 정리 佛敎 美術 整理 印度 최초의 寺刹 竹林精舍. 中國 白馬寺. 고구려(高句麗) 이불란사(石門寺) 佛敎(B.C544+80년?)中國 西紀 67년 高句麗 372년. 百濟 384년. 新羅 527년. 駕洛國=西紀48년 說 一柱門 佛法...성문(聲聞)=팔정도(八正道). 연각(緣覺)=小乘佛敎,십이연기 (十二緣起) 보살(菩薩)=대..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1.08.03
영원히 들어도 좋은 말 영원히 들어도 좋은 말 살면서 우리가 해야 할 말은 <힘을 내세요> 라는 말입니다.. 그 말을 들을 때 정말 힘이 나거든요.. 오늘 이 말을 꼭 해 보도록 하세요.. 그러면 당신도 힘을 얻게 될 테니까요.. 살면서 우리가 해야 할 말은 <걱정하지 마세요> 라는 말입니다.. 그 말을 들을 .. 마음의 양식/좋은 글 2001.07.19
인도 불교 변천사 佛敎史 講義 整理 印度 佛敎史 參考 東道 西器...東洋은 精神, 西洋은 科學. 印度(옛이름)... 西域,(서역) 天竺(천축), 西乾(서건) ...等. 釋迦(석가)=宗族(종족),牟尼(모니)=위대한 聖者(성자) 佛(불)=부처님. 本名 = 고오타마 싯다르타 現在 印度의종교=힌두교82%,이슬람(회교)=11%,시크교=..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1.07.18
반야심경(般若心經) 2001.7.17 作成 (2008.12.18開設) 般若心經 摩 訶般 若 波羅 蜜多 心經 觀 自在菩薩 行心般 若波羅蜜多 時 照見 五蘊皆空 度一切苦厄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 行識 亦復 如是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 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是 故 空中 無色 無 受想 行識 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 無眼界 乃至 無老死 亦 無老死盡 無苦集滅道 無智亦無得 以無所得苦 菩提薩 依般若波羅蜜多故 心無 碍 無 碍故 無 有恐怖 遠離 顚倒 夢想 究竟涅槃三世 諸佛 依般若波羅蜜多 故得阿耨多羅 三邈三菩提故 知 般若波羅蜜多 是大神呪 是大明呪 是無上呪 是 無等等呪 能除一切苦 眞實不虛 故說 般若波羅蜜多 呪 卽說呪曰 揭諦 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娑婆訶 마 하반 야 바라 밀다 심경 관 자재보살 행심반 야바라밀다 시 조견 오온개공 도일체고액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 마음의 양식/般若로가는 길 2001.07.17